본문 바로가기
인간 발달

신생아 신체발달 특성

by flowinfor 2023. 3. 15.

신생아 발달

신생아기

지난 글에서는 우리가 공부를 해서 알고 계시겠지만 엄마의 뱃속에 있다가 밖에 태어나왔잖아요. 그쵸 그래서 이 바깥에 적응해야 하는 굉장히 중요한 임무가 이 아이에게 주어진 거죠. 그래서 이런 바깥에 적응하는 시기 한 달간을 따로 떼어서 살펴보게 됩니다. 오늘 배우게 될 신생아기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우리 지금부터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신생아기 발달특성

 

신생아기에서 우리가 꼭 기억해야 할 내용들을 우리가 뽑아보자면 신생아에 우리 발달의 특성을 발달의 영역별로 차근차근 이렇게 볼 거거든요. 신체 발달 영역이고 인지 발달 영역이고 우리 사회 정서 발달 영역이고 이렇게 세 개의 발달 영역으로 나누어서 살펴보잖아요.

 

신체발달

신체적 생리적인 특징이라고 하는 부분 여기에 초점을 맞춰서 보자 라는 거죠. 신체적인 특징 부분이 주요하게 여러분이 보아야 할 부분이다라고 얘기할 수 있겠어요.

 

감각에 있어서 이 아이가 정상적인 반응을 보이는지 우리 살펴봐야 하잖아요. 그렇죠 한 달간 이 아이가 세상에 잘 적응할지를 지켜보는 기간이라고 했니 이런 오감이 제대로 잘 다 발달되어서 제 기능을 하고 있는지와 관련된 것들을 우리가 살펴보도록 할 겁니다. 그리고 신생아기 이 한 달간은 아이의 운동 능력은 반사로 나타나게 됩니다.


어떤 의지를 가지고 이쪽으로 고개를 돌려야지 이런 거 안 되고요 손을 들어야지 이런 것도 안 됩니다. 반사 운동이라고 하는 것에 의해서 자신을 보호하는 그런 운동 능력을 나타내기 때문에 반사 행동과 관련된 내용 배우고 여러분 꼭 기억하고 하도록 하겠습니다. 이것만은 꼭 우리 이런 내용 배운다라고 확인해봤고요 그럼 신생아기의 내용 우리 신체적인 특징과 관련된 부분부터 함께 배워보도록 할까요.


신체적인 특징 첫 번째 신장과 체중에 대한 이야기가 나옵니다. 여러분 엄마한테 한번 물어보세요.
엄마 나 몇 cm로 태어났어요. kg로 태어났어요라고 여러분 물어보시면 신생아의 신장과 체중과 거의 유사할 거라고 생각합니다.

 

신장은 평균 약 50cm 정도고요 그리고 체중은 3에서 3.5km 정도가 평균이라고 합니다. 여러분 어디까지나 평균 그러니까 내가 딱 여기 범위에 있지 않는다 하더라도 너무 걱정 하지 마세요. 평균 50cm 정도 그리고 몸무게는 3kg 정도 내외로 태어납니다. 남자아이가 여자아이에 비해서 뼈가 아무래도 좀 더 두꺼운 것 같아요.

 

그래서 약간 더 크고 무거운 그런 경향을 나타냅니다.그리고 태어난 다음에 아이가 쑥쑥 잘 자라야 할 것 같은데요.

오히려 태어나고한 일주일간 일주일 가량은 몸무게가 빠지는 듯한 그런 증상이 나타나요.


이 아이가 계속해서 세상에 적응해서 잘 살아나가고 막 이렇게 쑥쑥 커져야지 될 것 같은데 몸무게가 쭉쭉 빠지고 먹어도 먹은 것 같지 않고 그러니까 걱정이 많겠죠. 하지만 이건 신생아에게 누구나 나타나는 당연한 그런 특성이라는 거 여러분이
함께 기억해 둘 필요가 있습니다. 이걸 우리 뭐라고 이야기하냐면 생리적 체중 감소다라고 이야기를 해요.

생리적 체중감소

 

생리적 체중 감소 우리 좀 더 자세하게 살펴볼까요. 생후 3~ 4일간 몸무게가 쭉쭉 빠져요. 체중에 5% 내지 10% 정도까지 감소해요. 그러니까 3kg였던 아이가 2.7kg 이렇게까지 몸무게가 줄어드는 거죠. 이 아이가 왜 몸무게가 줄어들까?


왜 그럴까요. 밖에 나왔으니까 소변도 보잖아요.
그리고 대변도 보잖아요. 그쵸 그리고 양수에 이렇게 부어 있던 아이가 이제 피부에서 이렇게 수분들이 날아가겠죠. 그쵸 이런 노폐물을 배출하고 그리고 피부에 수분도 날아가고 이런 것들이 자연스럽게 날아가기 때문에 한 5%에서 정도는 3일에서 5일간 줄어들다가 일주일 정도가 되면 그다음부터는 자연스럽게 회복해서 몸무게가 늘어나게 될 거예요. 이런 현상은 뭐라고 이야기하느냐 생리적 체중 감소라고 하고 모든 신생아에게 나타나는 그냥 당연한 그런 이다라고 기억하시면 되겠죠.

 

다음 포스팅에서 계속 이어나갈게요~!

'인간 발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아기의 발달특성  (0) 2023.03.28
신생아 탯줄과 황달  (0) 2023.03.15
신생아의 숫구멍과 태지  (1) 2023.03.15
다양한 출산 방법  (1) 2023.03.07
출산 방법  (0) 2023.0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