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작적 조건화 실험은
조작적 조건화와 관련된 실험을 진행을 합니다.이 상자는 어떤 상태인지 우리가 한번 볼게요 상자 안에 쥐가 들어 있어요.
그리고 쥐가 그냥 돌아다니다가 우연히 이 레버를 밟을 수가 있는데 이 지렛대를 밟게 되면 바깥에 있는 먹이통에서 먹이가 우르르 쏟아져 나올 수 있게끔 이렇게 구성이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이 쥐에게 이 상자 안을 돌아다니게 가만히 두게 되면 쥐는 이 안이 좁기 때문에 왔다. 갔다. 하다가 우연히 지렛대를 누를 수밖에 없는 이런 환경이 된 거죠.
그래서 우연히 지렛대를 눌렀어요. 그랬더니 어떻게 됐어요. 신난다 쥐가 좋아하는 먹이가 우르르 나오게 됩니다.
그러고 나면 쥐는 보상을 얻기위해 어떻게 하죠?
그다음부터는 의도적으로 자발적으로 지렛대를 누르게 되는 이런 행동을 강화시키는 것을 살펴볼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스키너는 이와 같은 스키너 상자 실험을 통해서 어떻게 생각을 한 거예요.
어떤 행동을 하게 됐어요. 행동을 하게 됐는데 이 행동을 하고 난 다음에 내가 좋아하는 것이 주어졌어요.
이걸 우리가 이제 보상이라고 이야기하거든요. 내가 좋아하는 것이 주어지게 되면 이 쥐는 그다음에 이 좋아하는 것을 얻기 위해서 어떻게 해요. 이 행동을 더 해야 되겠구나 증가시키는 것을 학습하게 되더라 라는 이와 같은 실험을 하게 된 거죠.
쥐는 처벌을 피하기위해 어떻게 할까요?
그런데 만약에 지렛대를 눌렀는데 이 쥐가 너무나 싫어하는 찌릿하는 전기 자극이 주어졌다고 여러분 생각해 보세요.
이런 전기 자극이 주어지는 이런 상황이 되면 그러면 쥐는 어떻게 할까요. 그다음에는 되도록이면 이 지렛대를 건드리지 않고 돌아다니기 위해서 노력을 하겠죠. 행동을 감소시키는 그런 행동의 변화가 나타 이 찌릿하는 전기 자극은 쥐가 싫어하는 건데요. 이 싫어하는 이와 같은 자극을 처벌이라고 이야기하고요 이처럼 행동을 했을 때 그다음에 나타나는 이와 같이 싫어하는 결과 좋아하는 결과와 같은 이런 차이 결과의 차이에 따라서 행동을 선택하는 조작적 조건화가 나타난다라고 이야기를 합니다. 여러분 아시겠죠. 강화라는 내용이 나오는데요. 강화는 행동이 증가되게 만드는 것을 우리 강화라고 얘기를 해요.
쥐에게 먹이가 주어진 거 이거 우리 강화라고 얘기를 할 수 있겠죠. 어떤 행동의 결과로 나타나는 보상 이익으로 그 행동이 일어날 가능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강화라고 이야기를 합니다.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는 아까 앞에서 본 것처럼 먹이를 줬어
아니면 칭찬을 해줘서 기분을 좋게 해줬어 이렇게 돈을 줬어와 같은 보상을 주는 것 내가 좋아하는 것을 주는 것이 그 사례가 될 텐데요.
정적강화
내가 좋아하는 것을 줘서 그 행동을 계속하게 만드는 것은 우리 정적 강화라고 이야기를 해요.
그런데 좋아하는 상황을 만들어주는 게 여러분 꼭 이런 것만 있는 건 아니잖아요.
부적강화
내가 너무 싫어하는 걸 제거시켜주는 것도 내가 좋아하는 상황을 만들어주는 거거든요.
예를 들면 이런 거죠. 나는 선생님 같은 경우에 집에서 고양이를 키우는데 고양이 똥 치우는 걸 고양이는 좋아하지만 고양이 똥 치우는 건 싫어해 고양이 똥 치우는 게 내 일인데 너 이거 하면 만약에 시험을 잘 봐오면 고양이 똥 치우는 거 면제해 줄게라고 하면 시험을 잘 보기 위해서 노력을 하는 거 이런 경우 내가 불쾌하게 여기는 것을 제거해줘서 나한테 기쁨을 주는 이걸 우리가 부부 강화라고 해요. 그래서 이런 불쾌하게 여기는 것을 없애기 위해서 행동을 증가시키는 것을 부쩍 강화라고 얘기한다 이 두 강화는 여러분 어떤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행동이 증가된다 플러스된다 늘어난다라고 하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는 점 여러분 기억하셔야겠습니다.